-
최근 이벤트
- 2023년
- 2023-06-06
- 옥수수 수확량 예상치, 강우량 부족이 수확량 잠재력에 악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3년래 최저치로 하락
- 옥수수 수확량 예상치, 강우량 부족이 수확량 잠재력에 악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3년래 최저치로 하락
- 2023-06-13
- [유가 반등]에 따른 [에탄올 가격 상승]과 알제리아의 14만톤 옥수수 구매 계약 체결, 이란의 12만톤 [구매계약] 의사 타진 보도 등 영향에 상승
- 2023-06-06
- 2023년
-
기본정보
-
옥수수(Corn)는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작물이다. 바다보다 지면이 낮은 곳이나 높이가 1만 2천피트인 미남부 안데스산맥의 고산지대에서도 경작이 가능하다. 또 연중 400인치 이상의 비가 오는 열대지방이나 연 12 인치의 강수량을 보이는 지역에서도 경작이 가능하다.
-
옥수수 가격의 계절적 경향은 뚜렷하다. 파종 및 수확시기를 보면① 봄은 옥수수 파종기(4월~5월)로서 파종 전/후 토양 수분, 기온 등이 작물의 초기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농가는 작물의 가격과 함께 파종 환경을 고려하여 파종을 결정 하게 된다. ② 여름에 옥수수는 생육이 진행되어 수분기(7월~8월)로 접어들게 되는데 수분기는 옥수수의 수확량을 결정짓는 아주 중요한 시기여서 가격변동성이 연중 가장 큰 시기이기도 하다. 수분은 암술과 수술이 결합하여 옥수수 열매를 맺는 시기로서 충분한 토양 수분과 따뜻한 온도가 유지되면 수확량은 호조를 보이지만 너무 덥거나 가물면 꽃가루가 말라 죽거나 결합이 불량하여 수확량이 현저히 줄어들 가능 성이 크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일기예보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옵션 가격도 상 대적으로 높은 상태에 있다. ③ 가을은 수분기를 지난 옥수수 열매가 여물어 가는 시기(10월~11월)이다. 이 시기는 비교적으로 기상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지만 늦더위가 진행되거나 예상보다 빨리 서리가 내림으로써 작황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시기적으로 재고가 소진되어 감에 따라 다른 만기선물에 비해 높은 가격이 형성되기도 하지만 남부 지방의 텍사스로부터 수확이 시작되어 신곡이 대량으로 출하되는 시기로서 가격하락압박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④ 겨울에는 수확이 끝나 옥수수가 저장됨으로써 농가의 현물 매도 움직임이 가격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미국 다음의 옥수수 수출지역인 남미는 파종 및 초기생육 기간으로서 남미 쪽의 기상환경이 가격에 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시기(연초~2월)다.
-
최근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휘발유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옥수수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연구를,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경우에는 디젤소비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이오 디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세부내용
-
가격변수
- 상승요인
- 비료가격(Fertilizer) / 농약가격(Chemical) 상승 → 원가상승 → 가격상승 기대
- 수입국의 통화가치 상승(달러 약세) → 수입수요 증가 → 가격상승 기대
- 유가상승 → 휘발유 가격 상승 연동해 바이오 에탄올 수요 증가 → 에탄올 가격 상승 → 원재료인 옥수수 가격상승 기대
- 건조한 기후(수분기, Dry) 지속 → 생산량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
- 옥수수는 기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상품으로서, 기온이 너무 더워지면 옥수수 생산량에 타격을 받기때문에, 가파른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됩니다.
-
- 강우, [서리|서리] 발생 → 생산량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 이상기온(엘니뇨,라니냐) 발생 → 생산량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 중국 등의 인구증가 → 수요증가 전망 → 가격상승 기대5
- 사료 수요 증가 → 가격상승 기대
- 하락요인
- 대두 가격 하락(대체재) → 이듬해 대두 경작면적 감소 → 이듬해 옥수수 재배 증가 → 생산량 증대 예상 → 이듬해 가격하락 기대
- [경작면적|경작면적]/[수확율|수확율] 증가 → 생산량 증대 예상 → 가격하락 기대
- 이월[재고|재고] 증가 → 잉여공급 증가 → 가격하락 기대
- 기말재고량 및 재고율 상승 → 공급 충분 → 가격하락 기대
- 남반구(호주, 남미 등)의 생산증가 전망 → 가격하락 기대
| 07년 이후 옥수수 가격 급등 요인|
- 바이오 에탄올 원료용 옥수수 수요 급증
- 옥수수 가루에 액화와 당화과정을 진행하면 포도당이 추출되고 이를 발효시키면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됨
- 바이오 에탄올의 경우 글로벌 미국이 53%, 브라질이 30%지만 브라질은 사탕수수 중심이므로 옥수수 바이오 에탄올향 수요는 미국이 주도
- 세계 곡물시장에 투기자금(헤지 펀드)이 유입.
- 수확 면적과 단수, 지구온난화 → 생산증대 제약(공급부족)
- 세계 인구는 05년 65억명에서 2050년 91억명으로 늘어날 것으 로 UN은 전망.
- 소득증가하면 곡물에서 축산물로 소비패턴이 변하는데 계란 1kg 생산에 옥수수 3kg이 소요.
- USDA에 의하면, 미국에서 연료용 옥수수(바이오 에탄올) 수요는 2005년 4,100 만톤(생산량의 14%)에서 2016년 1억1,000만톤(생산량의 31%) 으로 전망.
- 상승요인